티스토리 뷰
반응형
🔴 인도 프라야그라지에서 발생한 쿠마 멜라 압사 사고
인도에서 열린 세계 최대 종교 행사 ‘쿠마 멜라(Maha Kumbh Mela)’에서 군중 압사 사고가 발생해 다수의 사상자가 나왔다. 이 사고는 2025년 1월 29일 새벽(현지시간), 수많은 신도들이 신성한 강에서 목욕을 하기 위해 몰리면서 발생했다.
📌 사건 개요
- 사고 발생일: 2025년 1월 29일 새벽 1시 30분 (현지시간)
- 장소: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프라야그라지(Prayagraj)
- 사망자: 최소 35명 (공식 발표 전, 사망자 증가 가능성)
- 부상자: 20명 이상 경상
- 실종자: 다수 발생
- 이유: 강변의 안전 장벽 붕괴 및 군중 밀집으로 인한 압사 사고
- 축제: 쿠마 멜라 (Maha Kumbh Mela)
🏴 압사 사고의 원인과 현장 상황
1️⃣ 신도들의 대규모 운집과 통제 실패
- 1월 29일은 힌두교에서 가장 신성한 날 중 하나인 ‘마우니 아무아샤(Mauni Amavasya)’
- 수백만 명의 신도들이 프라야그라지에서 열린 쿠마 멜라 축제 중 강에서 목욕을 하기 위해 몰림
- 수백만 명의 신도들이 행사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심각한 인파 혼잡 발생
- 강변 근처의 바리케이드 붕괴, 신도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들어가면서 군중 압사 사고 발생
- 이미 강가에서 목욕을 마친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던 곳에서 사고 발생
- 일부 가족들은 서로 떨어지면서 실종자 다수 발생
- 안내 방송 미흡 및 구조 대응 지연으로 피해 확산
2️⃣ 현장 목격자 증언
- “사람들이 갑자기 밀려오면서 도망칠 수도 없었다.”
- “강변에서 쉬고 있던 사람들까지 깔려버렸다.”
- “가족을 찾을 수 없어 너무 불안하다.”
- “구급차가 도착하는 데 너무 오래 걸렸다.”
- “안전 요원들은 우왕좌왕했고, 제대로 통제되지 않았다.”
🗣️ 인도 정부와 관계 당국의 반응
나렌드라 모디 총리
- “이 비극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유가족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며 부상자들의 빠른 회복을 기원한다.”
- “우타르프라데시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요기 아디티야나트 우타르프라데시 주총리
- “현재 상황은 통제되고 있으며, 부상자들은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 “허위 정보가 확산되지 않도록 신중할 것을 당부한다.”
- “군중 통제 시스템을 개선하고 향후 축제 안전 대책을 강화할 것이다.”
📷 현장 모습: 로이터(Reuters) 및 CNN 보도
- 압사 사고 발생 직후 구급차들이 연이어 출동하는 장면 포착
- 강변에는 여러 구의 시신이 널려 있음
- 군중이 혼란에 빠져 허둥지둥하는 모습 목격
- 목욕 후 가족과 함께 있던 신도들이 군중에 휩쓸려 실종되기도 함
- SNS에서는 구조 요청이 빗발치며 실종자를 찾는 게시물이 급증
🔍 군중 통제 및 안전 대책의 한계
인도에서 종교 행사 중 발생하는 군중 압사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특히 2013년에도 같은 쿠마 멜라 축제에서 철도역에서 군중 밀집으로 인해 수십 명이 사망한 바 있음.
정부가 발표한 안전 대책
- 1,000명 이상의 경찰 배치
- 2,700대 이상의 AI 감시 카메라 운영
- 드론 및 수중 드론을 활용한 감시
- 긴급 대피 경로 확보 계획 수립
- 그러나 엄청난 인파(8천만~1억 명 이상)를 감당하기엔 역부족이었다.
🛑 쿠마 멜라(Kumbh Mela)란?
1️⃣ 힌두교에서 가장 신성한 축제
- ‘쿰브(Kumbh)’는 ‘항아리’를 뜻함
- 신화에 따르면 신과 악마가 불멸의 영약이 담긴 항아리를 두고 싸우다 네 곳(프라야그라지, 나식, 하리드와르, 우자인)에 떨어짐
- 이 네 도시에서 번갈아 개최됨
2️⃣ ‘쿠마 멜라(Maha Kumbh Mela)’란?
- 12년마다 한 번 열리는 대규모 행사
- 2025년 행사는 144년 만에 천문학적 희귀 정렬이 발생하여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짐
- 총 6주간 진행되며, 방문객 수 4억 명 예상
🔮 앞으로의 전망 및 대응책
- 사망자 수 증가 가능성 높음
- 정부의 추가 대응 및 보상 정책 발표 주목
- 향후 대규모 종교 행사에서 군중 통제를 위한 추가 안전 조치 필요
- 특히 AI 감시, 실시간 군중 밀집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필요
- 긴급 대피 경로 및 의료 지원 시스템 재정비 필요
📢 결론
이번 쿠마 멜라에서 발생한 압사 사고는 대규모 군중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사건이다. 인도 정부는 AI 감시 시스템과 드론 감시를 도입했지만, 1억 명이 넘는 방문객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앞으로는 더 체계적인 군중 관리 및 응급 대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이 블로그는 CNN 뉴스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뉴스헤드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관세 한 달 유예 발표: 경제적 영향과 정치적 반응 분석 (0) | 2025.02.04 |
---|---|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 정책: 유럽연합, 멕시코, 캐나다, 중국의 보복 대응 (1) | 2025.02.03 |
트럼프의 중국 관세 위협: 2월 1일부터 추가 관세 부과? (0) | 2025.01.22 |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본 파나마 운하: 과거와 현재의 갈등 (0) | 2025.01.21 |
Apple의 다양성 정책: DEI 논란과 대응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