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군, 예멘 후티 반군 대상 대규모 공습 단행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멘의 후티 반군(Houthis)을 겨냥한 대규모 군사 공격을 지시하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공격은 홍해에서 선박을 공격해 온 후티 반군을 응징하기 위한 조치로, 향후 몇 주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후티 반군의 공격과 미국의 대응
후티 반군은 2023년 말부터 홍해(Red Sea)에서 선박을 대상으로 한 드론 및 미사일 공격을 감행하며 글로벌 해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혀왔다. 이들은 이러한 공격이 이스라엘의 가자 전쟁에 대한 보복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미국은 후티 반군의 기지, 지도부,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목표로 한 공습을 감행했으며, 이번 작전은 단발성이 아닌 장기적 전략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미군 공습의 주요 내용
🎯 공격 목표 지역
- 예멘 수도 사나(Sanaa)
- 사다(Saada) 지역: 전력 시설 타격으로 일부 지역 정전
- 타이즈(Taiz) 지역: 군사 기지 타격
- 기타 후티 반군 거점 지역
⚠ 공습으로 인한 피해
- 후티 반군 측 주장: 최소 31명 사망, 101명 부상, 이 중 대부분이 여성과 어린이
- 미국 측 피해 보고 없음
트럼프의 강경 대응과 후속 조치
트럼프 대통령은 Truth Social을 통해 성명을 발표하며, 이번 공격이 미국의 해상 및 항공 운송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강조했다.
🗣 트럼프의 발언 요점
- "미국과 국제 항로를 위협하는 해적 행위와 테러는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
- "미국은 전면적인 공습을 지속할 것이며, 만약 후티 반군이 공격을 계속한다면 지옥 같은 보복을 맞이할 것."
- "미국 상선과 해군 함정의 자유로운 항해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계속할 것."
🚨 이란에 대한 경고
- 트럼프는 후티 반군의 주요 후원국인 이란에 대해 즉각적인 지원 중단을 요구.
- "만약 이란이 미국을 위협한다면, 미국은 이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묻게 될 것이며, 결코 온화하게 대응하지 않을 것."
국제 사회 반응
🇮🇷 이란의 반응
- 이란 외무장관은 "미국은 이스라엘의 학살을 지원하고 있으며, 예멘 민간인들을 살해하고 있다"며 강력 비판.
🇷🇺 러시아의 입장
-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는 "미국의 무력 사용은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
- 지난해 러시아는 후티 반군에 무기 지원을 검토했으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박으로 철회한 바 있음.
향후 전망: 후티 반군의 대응과 추가 공습 가능성
⏳ 미국은 장기적 공습 지속 예상
미국 국방부는 이번 작전이 단기적인 일회성 공격이 아니며, 향후 수주 간 추가 공습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군의 지상군 투입(지상전)은 계획되지 않았으며, 공중 및 해상에서의 전략적 타격에 집중할 예정이다.
🔥 후티 반군의 보복 가능성
- 후티 반군은 이번 공격을 "전쟁 범죄"라고 규정하며 강력한 보복을 예고.
- "미국의 공습이 지속된다면, 우리도 강력한 맞대응을 할 것."
바이든 행정부와의 차이점
🚨 바이든 정부의 대응 실패?
- 바이든 행정부는 2023년부터 후티 반군의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몇 차례 표적 폭격(타겟 공격)을 수행했으나, 공격을 완전히 차단하는 데 실패.
- 트럼프는 바이든의 대응을 "형편없이 나약한 조치"라고 비판하며 보다 강경한 공격을 단행.
❗ 후티 반군의 테러 조직 지정
- 트럼프 정부: 후티 반군을 '외국 테러 조직'(FTO)으로 지정.
- 바이든 정부: 해당 지정을 해제했으나, 최근 들어 다시 검토 중.
결론: 미국-후티 갈등, 장기화 전망
현재 미국과 후티 반군의 충돌은 단순한 단기적인 공습이 아니라, 향후 수주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장기적 갈등으로 보인다. 또한 이란이 후티 반군에 대한 지원을 계속할 경우, 미국과 이란 간의 갈등도 격화될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후티 반군의 추가 도발 여부와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 국제 정세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 블로그는 CNN 뉴스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뉴스헤드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유럽산 와인 관세 200% 부과, 대체할 미국산 와인은? (0) | 2025.03.18 |
---|---|
중국 소비 진작 대책 발표: 트럼프 관세 영향과 경제 회복 전망 (0) | 2025.03.17 |
슈머, 공화당 예산안 찬성 결정… 민주당 내 분열과 전략적 혼란 (0) | 2025.03.14 |
필리핀 전 대통령 두테르테, ICC 구금... 반마약 정책으로 기소 (0) | 2025.03.13 |
그린란드 총선 결과: 야당 Demokraatit 승리, 독립 문제 향방은? (0) | 2025.03.12 |